Surprise Me!

[뉴스큐] 강제냐 자율이냐...'일제고사 부활' 논란 / YTN

2022-10-12 3 Dailymotion

정부가 학업성취도 평가 대상을 확대한다고 발표하자, 일제고사가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논란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에서 시작됐는데요.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윤석열 대통령 / 11일, 국무회의 모두발언 : 지난 정부에서 폐지한 학업성취도 전수평가를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별로 밀착 맞춤형 교육을 해서 국가가 책임지고 기초학력 안전망을 만들겠습니다.] <br /> <br />들으신 것처럼 "지난 정부에서 폐지한 학업성취도 전수평가를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할 수 있게 하겠다." 라고 하면서 '일제고사 부활'이라는 지적이 잇따른 겁니다. <br /> <br />논란이 일자 교육부가 해명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일제고사는 전혀 아니며, 기존에 해왔던 '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'에 '학교 자율'을 전제로 한 '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 평가'를 별도로 확대 진행한다는 거죠. <br /> <br />여기서 논란이 된 일제고사는 정식 명칭 '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'로 1960년대부터 진행되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했는지, 혹시 따라오지 못하는 학생들은 없는지 점검하고, 교육 정책에 반영하죠. <br /> <br />1998년 이전까지는 전국의 해당 학년 모두가 대상이었고, 동시에 일제히 치뤘지만, 김대중 정부 들어 노무현 정부까지는 1~3%의 학생을 표본으로 한 표집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2008년 이명박 정부 들어, 다시 전국 모든 학생들이 동시에 치르는 전수평가로 바뀌면서 일제히 보는 시험, '일제고사'로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정부는 학력 미달 학생이 많은 학교를 찾아 국고를 지원하고, 미달자들의 성적을 끌어올리겠다는 목적이었지만, 오히려 지역별, 학교별 서열을 매기는 '줄 세우기' 부작용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논란이 일자, 2017년 문재인 정부 들어서면서 다시 조정이 되는데요 <br /> <br />중3과 고2 학생의 3%만 시험을 치르고, 여기에서 전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파악하기로 한 겁니다. 다시 표집 방식으로 바뀐 거죠. <br /> <br />그런데 5년 뒤, 윤석열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이 '일제고사 부활'로 해석되면서 논란을 키운 겁니다. <br /> <br />희망하는 학교에 자율적으로 시행하겠다는 교육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, 전교조는 이미 몇몇 시도교육청에서 전수평가를 강요하는 만큼, 자율이란 이름은 허울만 남아 결국 강제가 될 것이라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01216374737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